실시!
방배동 카페에서 춤을 춰야 했고
선릉 산책길에서 깡총깡총 귀엽게 뛰어야 했고
비 오시는 날 우산을 뺐겨야 했고
지도 찾기할 때는 못 찾아야 했고
또 뭐?
“북유럽 학교는 잘 조율된 악기”
페테르 베르예루드(왼쪽)와 닐스 요한 만소케르.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서울 전시회 온 노르웨이 건축가
정형 탈피하고 쾌적한 공간 설계
“지루한 건물에서, 지루한 교사한테 배운 학생은 결국 지루한 사람이 된다. 우리는 건축가로서 학교를 잘 조율된 악기처럼 만들어 교사들이 학생들을 위해 교육이란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든다.”
노르웨이에서 20년 동안 25개 학교를 설계한 건축가 페테르 베르게루드(베르겐 예술디자인 아카데미 교수)와 닐스 요한 만소커 건축가에게 노르웨이의 학교 건축에 대해 들어봤다. 이들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북유럽 건축과 디자인’(내년 2월16일까지) 개막식 참석차 서울에 왔다. 전시회에선 이들이 설계한 학교 4개가 선보인다. 그들은 “노르웨이 학교건축은 미래세대한테 필요한 자질을 어떻게 갖춰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다”고 말했다.
노르웨이의 교육과정은 한국과 비슷해 2~5살 유치원, 6~13살 초등학교, 14~16살 중학교, 17~19살 고등학교 체제다. 이들 건축가는 자신들의 미래가 젊은이들한테 달렸기 때문에 그들이 사랑스럽고 책임감 있으며 즐거운 환경에서 배우도록 배려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페테르와 닐스가 설계한 클레페스퇴 중학교와 카루스초·중학교. 통로를 ‘더불어 삶’의 공간으로 만들고, 창문에서는 많은 빛을 끌어들였다.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노르웨이에서는 ‘더불어’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친다. 학교 건축에서는 학생들이 그곳에서 배우고 생활하면서 이러한 가치를 체득할 수 있도록 공간과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우리는 ‘회색지대’에 주목한다. 배움과 놀이를 위한 전용공간들 사이에 있는 중립공간을 말한다.”
이들이 설계한 학교를 보면 교실과 실습실 사이, 학교 건물과 운동장 사이 또는 기숙사 사이에 대한 고민이 두드러진다. 대개는 이동공간으로 쓰이는 이런 중간 공간을 넓고 쾌적하게 만들어 학생들이 정규 수업 외에 자율적으로 모여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회색지대에서 학생들은 서로 함께 하는 것을 배우고 자연과 공존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앉아서 배우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걷는 행위 자체가 뇌를 자극하지 않는가.”
이들이 제시한 학교의 또 다른 특징은 규격화와 사각틀을 벗어난 점이다. 교사와 기숙사가 삐뚤빼뚤 배치돼 있으며 곳곳에 골목길과 비정형 공간을 집어넣었다. “1960년대까지는 학교건물이 엄정하고 규격화돼 있었다. 학교는 대칭구조가 많았고 교실의 크기, 배치, 창문의 크기 등이 일정했다. 그런 환경에서 미래세대를 가르쳐서는 안된다는 반성이 일기 시작했다. 그 결과 새로 짓는 학교는 새로운 콘셉트로 지어지고 기존의 학교는 리모델링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이 리모델링에 참여한 초등학교는 1960년대 후반에 지어진 중학교였다. 기존 건물은 뼈대만 남기고 새로운 건물을 연결해 전혀 다른 학교로 만들었다. 일정한 간격의 기둥구조를 상쇄하려 원형 공간과 화사한 색깔을 도입했다. 규격화한 창문 자리에는 크기와 높이가 다양한 창을 냈다. “지금은 대부분의 교육이 학교에 맡겨져 있다. 아이들이 아이티(IT) 기기에 노출돼 있는 상태서 학교 교육마저 붙박이식으로 된다면 미래 세대는 궁둥이만 커다란 인간이 될지도 모른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