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저렇게 맑고 푸른 하늘을
자꾸 보고 또 보고 보는데
푸른 것만이 아니다★
성곡미술관은 왜 1907년에 결성된 <독일공작연맹 Deutscher Werkburd>을
굳이 '독일디자인 연맹'이라 칭했을까? 성곡미술관은 왜 전시도 안 된 주전자 사진이
들어간 포스터를 건물 입구에 떡허니 걸어놓았을까?
전시된 서적도 그렇지. 입장료를 1만원씩 받으시면서
책들을 다 유리박스 안에 가둬놓으면, 거기가 박물관이지 미술관이냐?
디자인 전공자들을 위해서라도 복사본 한 권 준비 안 될까?
공예품의 기계적 대량생산의 영향을 처음 알렸던 연맹은 이미 1957년에
'대지 파괴'를 시급한 문제로 제시했다고 하지만
거기에 대비한 그들의 노력은 어디에 있냐?
성곡미술관 정도의 미술관이라면
능력이나 관심의 경계를 넘어갈 때 뭔가 분명한 이유나 동기를 제시하셔야지
기어이 찾아낸 어느 카페의 빙수 숫가락 디자인
안에 맺힌 <그래, 예쁘면 DA야!>상像처럼
그냥 억지로 두리둥실 넘어가면 되겠냐
하루를.
★ 천상병, '푸른 것만이 아니다'
'이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36, 落水效果 (0) | 2018.09.14 |
---|---|
J-49: 2018학년도 1학기 성적표 (0) | 2018.08.29 |
J-48: 설문대할망 알현 (0) | 2018.08.21 |
J-47: 배려 (0) | 2018.08.18 |
Y-69 신분 Vs. 실리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