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18

이어가기 2013. 12. 17. 21:33

 

 

"으악, 아빠는 왜 이렇게 멋있어?"

가 아니라

선풍기를 최고 강으로 틀어주니 ...

 

 

 

 

사랑하고 노래하기 위해 나는 싸워야 했다

 
고세규 김영사 편집주간

편집자가 고른 스테디셀러

파블로 네루다 자서전
파블로 네루다 지음, 박병규 옮김
민음사 펴냄(2008)

“칠레의 숲에 서 본 적 없는 사람은 이 지구를 모른다. 나는 그 풍경, 그 진흙, 그 침묵 속에서 벗어나와 세계를 떠돌며 노래한다.” 세상에서 가장 긴 나라, 달나라 같은 사막에서 얼음에 덮인 남극까지 걸쳐진 칠레. 네루다를 알기 전까지 사람들은 이 나라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그는 칠레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이었고, 무수한 여인에게 열정을 바친 로맨티시스트였으며, 노동자 목소리를 대변한 사회주의자였다. 체 게바라는 게릴라전 중에도 네루다 시집을 놓지 않았다 한다.

 

시 쓴다는 걸 아버지에게 들킬까봐 열 살 때부터 네루다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한 파블로 네루다는(훗날 법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수도 산티아고에서 불문학을 전공하며 시에 몰두했다. 아버지의 철도원 망토를 시인의 상징처럼 두르고 다니던 청년 시절, 그에게는 늘 괴짜 친구들이 함께했다. 그가 세상에 알려진 건 시집 <스무 개의 사랑의 시와 하나의 절망의 노래>가 인기를 얻으면서부터다. 문인을 존경하는 어느 부자의 추천으로, 그는 이름조차 알지 못했던 랑군(당시 버마 최대 도시)에 영사로 파견되었고, 이후 싱가포르,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지로 옮겨 다니며 영사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스페인에 있는 동안 쿠데타가 일어났고, 그는 공화국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물러나야 했다.

 

지인들이 참혹히 희생되는 걸 목격해야 했고, 특히 <피의 혼례>를 쓴 가르시아 로르카의 죽음은 큰 상처를 남겼다. “내게 스페인 내전은 한 시인의 실종에서 시작되었으며 곧이어 내 시의 성격을 바꾸어놓았다.” 그리고 “리얼리스트가 아닌 시인은 죽은 시인이다. 그러나 리얼리스트에 불과한 시인도 죽은 시인이다”고 썼다.

 

그의 시는 민중에 대한 애정으로 충만했다. 가는 곳마다 그의 시를 듣고 싶어 하는 청중들이 있었으며, 네루다는 그들 앞에서 시를 낭송했다. 결국 그는 정치 신념과 칠레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때문에 기나긴 망명을 해야 했다.

 

“로타에 있는 석탄광산의 깊은 갱도 밑바닥에서 한 사람이 … 얼굴은 참혹한 노동으로 일그러지고 두 눈은 먼지로 충혈된 채, 못 박이고 주름 간 모습이 팜파의 지도라도 그려놓은 듯한 손을 내밀며 두 눈을 빛내면서 내게 ‘오래전부터 당신을 알고 있었소, 나의 형제여’라고 말했을 때, 그때만큼 깊이 감명받은 일은 없었다. 그것은 내 시에 씌워준 월계관이었다.”

 

바다가 보이는 이슬라네그라. 긴 망명 끝에 조국 칠레로 돌아온 네루다는, 병상에 누워 생의 마지막을 보내며 이 회고록을 구술했다. 완성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라디오에선 피노체트의 쿠데타 소식이 들려왔고, 절친했던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이 자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절망한 그의 병세는 더 악화됐고, 아옌데 사망 열흘 뒤 그도 눈을 감았다. 1973년, 노벨문학상 수상 2년 뒤 일이었다.

 

“사랑하고 노래하기 위해 나는 고통스러워하고 투쟁해야 했다. 나는 사람들 속에서 부대끼며 승리하고 패배하였으며 빵과 피의 맛을 보았다. 한 시인이 그 이상 무엇을 더 원할 수 있겠는가?” 바다를 사랑해 파란색 잉크로 시를 썼던 네루다. 그의 “모든 선택, 눈물과 키스, 고독과 인간의 우애는” 그의 “시 속에 살아 시의 본질을 이루었다.” 그의 집 이슬라네그라에는 아직도 그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찾아와 그가 사랑하던 바다를 지키고 있다.

 

고세규 김영사 편집주간

 

 

'이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2  (0) 2014.01.06
J-1  (0) 2013.12.24
Y-17  (0) 2013.12.04
Y-16  (0) 2013.11.30
Y-15  (0) 2013.11.15
Posted by 바람의 아들
,